ip default-network
Cisco R&S 2015. 4. 16. 18:57 |CCNA덤프에 ip default-network 0.0.0.0이라는 커맨드가 나와서 적잖이 당황했다.
원래 저 명령은 라우팅테이블에 없는 네트웍으로 가는 패킷이 들어왔을때 어느 네트웍으로 보낼지,
즉 Gateway of last resort를 정해주는 명령이다.
그런데 0.0.0.0이라는 네트웍으로 보내다니..?
여러 방면으로 구글링도 해보고 직접 랩도 돌려봤지만 도무지 쓸 이유가 없는 명령이었다.
그래서 네이버카페에 물어보니 내가 맞았다.
ip default-network 0.0.0.0이라는 명령이 굉장히 어색하고 이상한 명령이라는 것이고,
답변을 달아주신 분 또한 CCIE준비할 때만 사용한 명령으로 실제 상용망에는 적용해본적이 없으시다고 한다.
왜 이명령이 NA덤프에 나왔는지는 모르겠지만
드디어 깔끔하게 정리하고 넘어간다. 한 이틀 붙잡은듯 하다.
- 임의의 IP network로의 route를 candidate default route로서 flag(*) 설정(표시)하기 위해 사용한다.
- 임의의 IP network는 반드시 Routing table에 class기반으로 존재하야 하며, 명령어 입력시에도 반드시 class기반으로 입력한다.
- candidate default route는 Routing table에서 '*'로 표시되며, "마지막으로 사용될 게이트웨이"로 간주한다.
- IGRP, EIGRP는 자동으로 전달한다. (단, 해당 network을 IGRP, EIGRP가 알아야 한다. - IGRP, EIGRP derived network)
- RIP도 자동으로 전달하나, 입력된 network이 아닌 0.0.0.0/0으로 전달한다.
'Cisco R&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LBP - Gateway Load Balancing Protocol (0) | 2016.08.20 |
---|---|
VRRP - Virtual Router Redundancy Protocol (0) | 2016.08.16 |
HSRP - Multiple Group Configuration (0) | 2016.08.16 |
HSRP - Hot Standby Router Protocol (0) | 2016.08.16 |
VPN(PPTP) Server Configuration (0) | 2015.12.25 |
CCNA Labsim 공부할 수 있는 곳 (0) | 2015.04.27 |
Port-security (0) | 2015.04.15 |
라우터상의 arp테이블 해석 (0) | 2015.04.14 |